란탄과 같은 물질을 왜 유리에 섞어서 사용하였는지 궁금해서 해외 사이트를 검색하다가 매우 잘 설명된 문서를 발견하였다. 첨부된 PDF 파일을 대강 읽어보니 굴절율이 높은 렌즈가 왜 구면수차를 줄이고 더욱 밝은 렌즈를 만들수 있는지를 알수 있었다. 특히 주변부의 밝기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구면수차도 줄여서 주변부 왜곡을 줄일수 있는지를 첫장의 글들과 두번째 장의 굴절율 그림을 보면 잘 이해할수 있다.
여기서 매우 놀라운 사실은 란탄계열의 글래스가 다이아몬드의 굴절율에 근접한 높은 굴절율을 보인다는 것이다.
왜 잘 깍여진 다이아몬드의 빛깔이 영롱하게 빛나는지를 이제야 이해할수 있겠다.
광각으로 갈수록 렌즈의 구면은 큰 구형을 이루어야 하는데, 이 굴절율을 잘 이용하면 주변주의 빛도 아주 직선으로 잘 굴절시켜서 필름면에 잘 전달할수 있는것이다.
참고를 위해서 첨부된 파일의 그림을 아래에 넣어본다.
아래 그림을 보면 란탄계열의 굴절율이 1.88로 매우 높은것을 볼수있다.
그리고 참조한 원 검토문서를 첨부한다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'Film Tech > Theo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빛에 대한 고찰 (0) | 2012.09.22 |
---|---|
필름의 크기설명 (35mm film, 120mm film) (0) | 2012.09.10 |
ST-801 밧데리 고르기 - GP 4LR44 Battery 또는 Sanyo 2CR 1/3N Battery (0) | 2011.10.04 |
제습함의 제습제 용량구하기 (0) | 2011.10.04 |